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를 기초 문법 배우기 (연산자)

2025. 4. 9. 14:20WEB/JavaScript

반응형

 
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산자에 대해 배워본다.

 

연산자란?

연산자는 프로그래밍에서 값을 계산하거나 조작할 때 사용하는 기호 또는 키워드를 말한다.
쉬운 예를 들자면 산수/수학의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 같은 것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키워드,
즉 + - * / 이런 기호들을 말한다.
 
연산자는 종류가 많지만 자주 사용되는 연산자들부터 익혀보자.
 

산술 연산자

숫자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를 산술 연산자라고 한다.

연산자설명예시결과
+덧셈5 + 27
-뺄셈5 - 23
*곱셈5 * 210
/나눗셈5 / 22.5
%나머지5 % 21
**거듭제곱(ES6+)2 ** 38

 
 

대입 연산자

값을 변수에 할당(또는 저장)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를 대입 연산자라고 한다.

연산자설명예시결과
=할당x = 5x는 5
+=더해서 할당x += 2x = x + 2
-=빼서 할당x -= 1x = x - 1
*=곱해서 할당x *= 3x = x * 3
/=나눠서 할당x /= 2x = x / 2

 
 

비교 연산자

두 값을 비교해서 참(true)인지 거짓(false)인지 판단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를 비교 연산자라고 한다.

연산자설명예시결과
==값이 같은지 비교5 == '5'TRUE
===값과 자료형까지 같은지 비교5 === '5'FALSE
!=값이 다른지 비교5 != 3TRUE
!==값 또는 자료형이 다른지 비교5 !== '5'TRUE
>크다5 > 3TRUE
<작다5 < 3FALSE
>=크거나 같다5 >= 5TRUE
<=작거나 같다5 <= 4FALSE

 
* 참고로 ==의 경우 자료형을 자동 형변환해서 비교하기 때문에 ===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.
 
 

논리 연산자

여러가지 조건을 논리적으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를 논리 연산자라고 한다.

&&AND (그리고)true && falseFALSE
||OR (또는)true || falseTRUE
!NOT (부정)!trueFALSE

 
 
 
각각의 연산자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을 했지만 실제 이게 뭐하는건지를 알아야하니 아래와 같이 HTML문서에 자바스크립트로 코드를 작성해서 연산자들을 살펴보자.
 
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    <meta charset="UTF-8">
    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    <title>Document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
    <div>
        <span id="exam1"></span></br>
        <span id="exam2"></span></br>
        <span id="exam3"></span></br>
        <span id="exam4"></span></br>
        <span id="exam5"></span></br>
    </div>

    <script>
        let a = 10;
        let b = 5;
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console.log(a + b);    // 15
        console.log(a > b);    // true
        console.log(a === 10); // true
        console.log(a !== b);  // true
        console.log(a > 0 && b < 10); // true

        document.getElementById('exam1').textContent = (a + b);
        document.getElementById('exam2').textContent = (a > b);
        document.getElementById('exam3').textContent = (a === 10);
        document.getElementById('exam4').textContent = (a !== b);
        document.getElementById('exam5').textContent = (a > 0 && b < 10);
    </script>
</body>
</html>

 
위 html파일을 웹브라우저에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될 것이다.

 
변수 a에는 10이라는 값이 할당되어 있고,
변수 b에는 5라는 값이 할당되어 있다.
 
두 변수에 사이에 연산자를 넣고 실행해서 아래와 같은 값이 출력된 것이다.
a + b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a와 b를 더하면 15)
a > b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a 가 b 보다 큰가? 참 / true)
a === 10               (a 가 10 의 값이 같은가? 참 / true)
a !== b                  (a 와 b 의 값이 다른가? 참 / true     // a === b 라고 했다면 거짓 false 가 나올 것이다)
a > 0 && b < 10    (a 가 0 보다 크고, b 가 10 보다 작은가? 참 / true    // 두개의 조건이 모두 만족해야 참이다)
 
 
* 참고로 위 코드에서 console.log() 는 콘솔창에서 확인할 수 있다.
웹브라우저에서 F12 를 누르면 개발자 도구 창이 열리는데 개발자 도구에서 콘솔 탭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console.log() 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 
연산자에 대해서는 여기까지.
 
 
끝.

반응형